목록보안 공부 (200)
EASY7

네트워크 어댑터에는 우선순위가 있다. 변경하는 법은 제어판에서 가능하다. 1. 제어판->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2. 설정하고 싶은 어댑터 속성 3.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(TCP/IPv4) 4. 고급 5. 자동 메트릭 **메트릭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값으로, 해당 경로에 사용되는 비용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. 연결속도, 홉 수, 시간 지연 등의 기준으로 메트릭을 지정할 수 있다. 메트릭은 기본적으로 자동 메트릭으로 설정되며, 특정 메트릭을 할당할 수 있도록 수동 설정 할 수 있다. 값이 낮을 수록 우선순위가 높다. **메트릭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route print 참고 문서 https://support.microsoft.com/ko-kr/help/299540/an-explanati..
CentOS6 https://idchowto.com/?p=24058 Ubuntu http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ekthatkxkd&logNo=221373036440&parentCategoryNo=&categoryNo=17&viewDate=&isShowPopularPosts=true&from=search

VMware에서는 자동으로 NAT연결이 되었지만, Virtual Box에서는 포트포워딩이라는 것을 해줘야한다. CentOS 6 마우스 통합, 클립보드 통합 http://blog.naver.com/cherish1058/220197770107

오류 내용 centos 6,7이다. putty에서 연결하려고 하면 network error, permission denied가 뜬다. 확인해보셨나요? 1. ssh 서버의 잘못인가? 서버에서 ssh localhost->비밀번호 입력 으로 접속해본다.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에서 ssh root@IP 로 접속해보기 다른 리눅스-> 리눅스 (접속 가능) 내 PC 윈도우 -> 리눅스 (접속 불가능) 내 PC 윈도우->내 PC 윈도우 (접속 불가능) 2. access denied 오류 /etc/ssh/sshd_config파일에서 PermitRootLogin yes로 수정 AllowUsers 에 root 추가 /etc/init.d/sshd restart 재시작 https://seongkyun.github.io/othe..
http://www.infohub.co.kr/etc_security.html
실습환경 VMware Workstation OS : Window XP OllyDbg(shadow) IDA 32 Sysinternals사의 process monitor : 사용하는 API, 레지스트리, 파일 시스템, 네트워크, 프로세스, 스레드 등의 행위 모니터링 process explore : 프로세스 스레드, 권한, 네트워크, 메모리 등의 정보 확인, 호출하는 DLL내용 검색 autoruns : 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kimjs6873&logNo=220589414793&proxyReferer=https%3A%2F%2Fwww.google.com%2F API정보 .. 메모리 VirtualAlloc VirtualFree HeapAlloc HeapFre..

ASPACK 된 후 파일 구조 UPX와 차이점이 있어보인다....... (나중에 더 자세히 조사해보겠다) 언패킹 하는 방법은 UPX 와 동일하다...! 참고 : https://easy7.tistory.com/516 다운로드 링크 : http://www.aspack.com/

Exeinfo PE A.S.L이 만든 소프트웨어로 exe파일 분석 프로그램(PEiD와 비슷한 프로그램) 실행 후 파일을 드래그&드롭하여 프로그램이 어느 언어로 작성되었는지, 패킹, 크립팅, 프로텍팅 여부를 알 수 있다. -파일의 이름을 변경, 단순 삭제 -파일의 사이즈, 사이즈 등 정보 -패킹 유무 -프로그래밍 언어 종류 -파일의 통계정보, 해시값 **다운로드 링크 http://exeinfo.atwebpages.com/ PEiD -PE파일에서 470개의 다른 시그니쳐 탐지 -기본적인 패커, 컴파일러에 대한 정보 1. 기본적인 UI 2. 섹션 뷰어 3. 디스어셈블러 뷰어 4. PE 파일의 상세 정보 5. OEP 파인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