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ASY7
[리눅스] 로그 파일 경로 및 명령어 본문
utmp :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담고 있는 로그 파일, binary 파일로 되어있으며 확인하기 위해서 "w", "who", "finger" 등을 이용
리눅스 /var/run/utmp | 유닉스 /var/adm/upmpx
wtmp : 사용자의 성공한 로그인/로그아웃 정보, 시스템의 Boot/Shutdoun 정보에 대한 히스토리, binary 로 "last" 명령 사용
리눅스 /var/log/wtmp | 유닉스 /var/adm/wtmpx
lastlog : 가장 최근에 성공한 로그인 파일을 담고 있는 로그파일, binary 파일로 되어있으며 "lastlog", "finger" 명령 사용
리눅스 /var/log/lastlog | 유닉스 /var/adm/lastlog
last -u 유저명, last -t 시간
btmp, loginlog : 실패한 로그인 시도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는 파일, "lastb" 명령을 사용한다. 유닉스는 vi 등의 편집기를 통해 로그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. 리눅스와 달리 5회 이상 실패시 실패한 로그를 남긴다.
리눅스 : /var/log/btmp | 유닉스 /var/adm/loginlog
sulog(유닉스) : su 명령을 사용한 결과를 저장한 파일로 SunOS를 포함한 Unix 계열에서만 볼수 있다
/var/adm/sulog 텍스트파일로 되어 있으며 vi 편집기를 통해 로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.
acct/pacct : 시스템에 로그인한 모든 사용자가 로그아웃할 때까지 입력한 명령어와 터미널의 종류, 프로세스 시작 시간등을 저장한 로그, binary파일로 내용 확인시 lastcomm 명령 사용
리눅스 /var/account/pacct | 유닉스 /var/adm/pacct
기본적으로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활성화를 해주어야한다.
리눅스 # accton /var/account/pacct | 유닉스 # /usr/lib/acct/accton /var/adm/pacct
history : 계정 별로 실행한 명령어에 대한 기록을 저장한 파일로 각 계정별 홈 디렉터리에 존재
# cat .bash_history | # history
secure : 주로 사용자/그룹 생성/삭제, 로그인 등의 사용자 인증에 대한 정보를 기록. 원격에서 접속한 su 명령을 수행한 내용등이 저장
# /var/log/secure
messages : 가장 기본적인 시스템 로그파일, 시스템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메시지를 저장.
리눅스 /var/log/messages | 유닉스 /var/adm/messages
dmesg : 리눅스가 부팅될 때 출력되는 모든 메시지를 기록하고 있다
# /var/log/dmesg
boot.log : 리눅스가 부팅될때 파일 시스템에대한 체크, 서비스 데몬들의 실행 상태등을 기록
# /var/log/boot.log
xferlog : ftp 로그파일
# /var/log/xferlog
전송 파일 종류
- Ascii 모드 : 텍스트 파일 = OS마다 개행처리 문자가 다름(리눅스 : LF, 유닉스 : CRLF, MACOS : CR) 그래서 OS에 따라 전송할 때 이런 문자들을 맞추어 변경해서 보내준다.
- Binary 모드 : 이런 변경 없이 그대로 전송
전송 방향(전송방향은 서버기준이다)
- i : incoming
- o : outgoing
- d : delete
파일 전송 상태 c (전송완료), i (전송 실패)
cron : # /var/log/cron
maillog : # /var/spool/maillog
'보안 공부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] PAM 모듈을 이용한 접근 제어 (0) | 2021.10.08 |
---|---|
[리눅스] 패스워드 해시 알고리즘 (0) | 2020.12.06 |
리눅스 부팅시 자동 실행 (0) | 2020.03.10 |
Virtual Box 가상 하드 디스크 용량 늘리기 (0) | 2019.11.23 |
putty가 안돼요 (0) | 2019.11.23 |